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풍경이 있는 시
- 동의보감
- 장수길
- 현대시
- 시인
- 허준
- 애송시
- 이서윤시낭송
- 시낭송
- 한국명시
- 문학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풍경이 있는시
- 축시낭송
- 명시
- 신춘문예
- 명시낭송
- 이서윤 시낭송
- 세계명시
- 윤동주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이서윤 시인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이서윤
- 한국명시낭송클럽
- 좋은시
- 허준박물관
- 시낭송행복플러스
- 시낭송아카데미
- 한국명시낭송
- Today
- Total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스크랩] 좋은시란/정민(한양대 국문과 교수) 본문
좋은 시란? /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좋은 시란 운문으로서의 운율적 요소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이미지와 새로운 인식 내용을 보여주는 작품 일 것이다'
1. 말하지 않고 말하는 방법
시인은 시 속에서 벌써 다 말하고 있지만 겉으로는 이런 사실을 하나도 표현하지 않는다. 좋은 시 속에는 감춰진 그림이 많다 그래서 읽는 이에게 생각하는 힘을 살찌워 준다. 보통 때 같으면 그냥 지나치던 사물을 찬찬히 살피게 해 준다.
2.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시인은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직접 하지 않는다. 사물을 데려와 사물이 대신 말하게 한다. 즉 시인은 이미지(형상)를 통해서 말한다. 한편의 시를 읽는 것은 바로 이미지 속에 담긴 의미를 찾는 일과 같다.
3. 진짜시와 가짜시
시인은 눈앞에 보이는 사물을 노래한다. 그런데 그 속에 시인의 마음이 담기지 않으면 아무리 표현이 아름다워도 읽는 사람을 감동시킬 수 없다. 겉꾸밈이 아니라 참된 마음이 깃든 시를 써야한다.
4. 다 보여 주지 않는다
시에서 하나하나 모두 설명하거나 직접 말해 버린다면 그것은 시라고 할 수 없다. 좋은 시는 직접 말하는 대신 읽는 사람이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5. 사물에서 찾는 여러 가지 의미
하나의 사물도 보는 방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사물 속에는 다양한 의미가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좋은 시는 어떤 사물 위에 나만의 의미를 부여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시이다.
6.사물이 가르쳐 주는 것
사물 위에 마음 얹는 법을 배워야 한다. 시는 우리에게 사물을 바라보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시인은 사물을 관찰하며 바라보는 태도가 필요하다.
7. 새롭게 바라보기
좋은 시는 남들이 생각한 대로 생각하지 않았기에 쓰인다. 시인은 사물을 새롭게 태어나게 하는 사람이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든다. 그래서 사물을 한 번 더 살펴보게 해 준다. 어느 날 그것들을 주의 깊게 살펴 대화를 할 수 있게되면, 사물들은 마음 속에 담아 둔 이야기들을 시인에게 건네 오기 시작한다. 시는 사물이 시인에게 속삭여 주는 이야기를 글로 적은 것이다.
8. 미치지 않으면 안된다
위대한 예술은 자기를 잊는 이런 아름다운 몰두 속에서 탄생하는 것이다. 훌륭한 시인은 독자가 뭐라 하든 자신이 몰두할 때까지 고치고 또 고친다. 우리가 쉽게 읽고 잊어버리는 작품들 뒤에는 이런 보이지 않는 고통과 노력이 담겨 있다.
9. 시는 그 사람과 같다
시를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가 다 드러난다. 시인이 사물과 만난다. 마음 속에서 어떤 느낌이 일어난다. 그는 그것을 시로 옮긴다. 이때 사물을 보며 느낀 것은 사람마다 같지 않다. 그 사람의 품성이나 생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시인은 그래서 말을 조심하고 행동을 가려서 할 줄 아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내가 오늘 무심히 하는 말투와 행동 속에 내가 품은 생각이 다 드러나기 때문이다.
10. 다의적 의미 가꾸기
시 속에서 시인이 일부러 분명하게 말하지 않을 때가 있다. 분명하게 말하지 않았기 때문에 읽는 사람은 이렇게 볼 수 있고 저렇게도 볼 수 있다. 모호성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의적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분명하게 다 말해 버리고 나면 독자들이 생각할 여지가 조금도 남지 않는다.
11. 울림이 있는 말
직접 말하는 것보다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 좋다. 시 속에서 시인이 말하는 방법도 이와 같다. 다 말하지 않고 조금만 말한다 그리고 돌려서 말한다.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 대신 스스로 깨닫게 한다. 마음이 고이는 법 없이 생각과 동시에 내뱉어지는 말, 이런 말속에는 여운이 없다 들으려고는 않고 쏟아 내기만 하는 말에는 향기가 없다 말이 많아질수록 어쩐 일인지 공허감은 커져만 간다. 무언가 내면에 충만하게 차오르는 기쁨이 없다.
12. 한 글자의 스승
시에서는 한 글자 한 글자가 모두 소중하다. 한 글자가 제대로 놓이면 그 시가 살고, 한 글자가 잘못 놓이면 그 시가 죽는다. 훌륭한 시인은 작은 표현 하나가 가져오는 미묘한 차이도 놓치지 않는다.
'아름다운 시편들 > 시 창작 이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의 3요소 (0) | 2020.07.29 |
---|---|
시 창작법/이문재 (0) | 2018.01.05 |
[스크랩] 띄어쓰기의 원칙 (0) | 2016.04.18 |
[스크랩] 띄어쓰기의 원칙 (0) | 2016.04.18 |
좋은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최동호 (0) | 201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