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허준박물관
- 문학
- 시낭송아카데미
- 현대시
- 한국명시
- 세계명시
- 명시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이서윤시낭송
- 좋은시
- 시인
- 풍경이 있는시
- 풍경이 있는 시
- 신춘문예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한국명시낭송
- 이서윤 시인
- 이서윤
- 이서윤 시낭송
- 시낭송행복플러스
- 애송시
- 시낭송
- 동의보감
- 한국명시낭송클럽
- 축시낭송
- 명시낭송
- 허준
- 장수길
- 윤동주
- Today
- Total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내 살던 뒤안에/ 정양 본문
내 살던 뒤안에
정양
참새떼가 요란스럽게 지저귀고 있었다
아이들이 모여들고 감꽃들이
새소리처럼 깔려 있었다
아이들의 손가락질 사이로
숨죽이는 환성들이 부딪치고
감나무 가지 끝에서 구렁이가
햇빛을 감고 있었다
아이들의 팔매질이 날고
새소리가 감꽃처럼 털리고 있었다
햇빛이 치잉칭 풀리고 있었다
햇살 같은 환성들이
비늘마다 부서지고 있었다
아아, 그때 나는 두근거리며
팔매질당하는 한 마리
구렁이가 되고 싶었던가......
꿈자리마다 사나운
몰매 내리던 내 청춘을
몰매 속 몰매 속 눈감는 틈을
구렁이가 사라지고 있었다
햇살이, 빛나는 머언 실개울이 환성들이
감꽃처럼 털리고 있었다
햇빛이 익는 흙담을 끼고
구렁이가 사라지고 있었다
가뭄 타는 보리밭 둔덕길을 허물며
팔매질하며 아이들이 따라가고 있었다
감나무 푸른 잎새 사이로
두근거리며 감꽃들이 피어 있었다
-시집 『(까마귀떼 』 은애, 1980)
정양 시인/ 1942년 전북 김제에서 태어났다. 1965년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마치고 전북 김제군 죽산면 소재 죽산 중,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지금까지 이리 원광고, 전주 신흥고, 우석대 등에서 교직생활을 계속하고 있다.1968년 시 「천정을 보며」가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1977년 윤동주의 시에 관한 글 「童心의 神話」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하였고 모악문학상, 아름다운작가상, 백석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 『까마귀떼』 『살아 있는 것들의 무게』 『길을 잃고 싶을 때가 많았다』 『나그네는 지금도』『철들 무렵』 등과, 시화집 『동심의 신화』, 판소리평론집 『판소리 더늠의 시학』, 옮긴 책으로 『한국 리얼리즘 한시의 이해』 『두보 시의 이해』 등이 있다. 현재 우석대 문예창작과 명예교수로 재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