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서윤
- 이서윤 시낭송
- 현대시
- 시인
- 허준박물관
- 시낭송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애송시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명시낭송
- 윤동주
- 좋은시
- 시낭송아카데미
- 풍경이 있는 시
- 축시낭송
- 한국명시낭송클럽
- 한국명시낭송
- 동의보감
- 세계명시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신춘문예
- 이서윤시낭송
- 한국명시
- 장수길
- 명시
- 허준
- 이서윤 시인
- 문학
- 풍경이 있는시
- 시낭송행복플러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한국현대대표시낭송] 휴전선/박봉우, 시낭송/이서윤 휴전선/ 박봉우 산과 산이 마주 향하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향한 항시 어두움 속에서 꼭 한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일어날 것을 알면서 요런 자세로 꽃이 되어야 쓰는가 저어 서로 응시하는 쌀쌀한 풍경, 아름다운 풍토는 이미 고구려 같은 정신도 신라 같은 이야기도 없는가. 별들이 차지한 하늘은 끝끝내 하나인데... 우리 무엇에 불안한 얼굴의 의미는 여기에 있었던가 모든 유혈(流血)은 꿈같이 가고 지금은 나무 하나 안심하고 서 있지 못할 광장 아직도 정맥은 끊어진 채 휴식인가 야위어가는 이야기뿐인가 언제 한번은 불고야 말 독사의 혀같이 징그러운 바람이여 너도 이미 아는 모진 겨우살이를 또 한 번 겪으라는가 아무런 죄도 없이 피어난 꽃은 시방의 자리..
5-2 오장의 상태는 어떻게 드러나는가 「영추」에서 말했다. “오장의 정기는 늘 얼굴의 일곱구멍과 통한다. 폐기(肺氣)는 코와 통하므로 폐의 기운이 조화로우면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 심기(心氣)는 혀와 통하므로 심장의 기운이 조화로우면 다섯 가지 맛을 잘 구분할 수 있다. 간기(肝氣)는 눈과 통하므로 간의 기운이 조화로우면 색을 잘 판별할 수 있다. 비기(脾氣)는 입과 통하므로 비의 기운이 조화로우면 음식물의 맛을 잘 알 수 있다. 신기(腎氣)는 귀와 통하므로 신장의 기운이 조화로우면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 오장의 기운이 조화롭지 않으면 일곱 구멍의 기능이 상실되고, 육부의 기운이 조화롭지 않으면 기혈(氣血)이 뭉쳐 옹양(癰瘍: 종기, 부스럼 등과 같이 피부가 허는 증상들)이 생긴다.” 「영추」에..
[한국현대대표시낭송] 모든 순간이 꽃봉우리인 것을/정현종, 시낭송/이서윤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정현종 나는 가끔 후회한다 그때 그 일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그때 그 사람이 그때 그 물건이 노다지였을지도 모르는데 더 열심히 파고들고 더 열심히 말을 걸고 더 열심히 귀 기울이고 더 열심히 사랑할 걸 반벙어리처럼 귀머거리처럼 보내지는 않았는가 우두커니처럼 더 열심히 그 순간을 사랑할 것을 모든 순간이 다아 꽃봉오리인 것을 내 열심에 따라 피어날 꽃봉오리인 것을 정현종/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 1939년 서울.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 한국 문학작가상, 현대 문학상, 이산문학상, 대산문학상, 미당문학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