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축시낭송
- 이서윤
- 명시
- 세계명시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한국명시낭송클럽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허준박물관
- 윤동주
- 명시낭송
- 한국명시낭송
- 신춘문예
- 이서윤시낭송
- 장수길
- 동의보감
- 허준
- 한국명시
- 문학
- 현대시
- 이서윤 시인
- 풍경이 있는 시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풍경이 있는시
- 시낭송아카데미
- 좋은시
- 시낭송
- 시낭송행복플러스
- 애송시
- 이서윤 시낭송
- 시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시와 역사 해설이 있는 이서윤과 함께 하는 도심속문학기행/ 6회차 노량진 흑석동(10:00-12:00) ∙ 일시: 2022년 5월 11일 수요일 오전10시 노들역 1번 출구 (지하철 9호선/일반열차) ▻조선시대 단종복위운동의 충효사상을 체험하는 공원길 및 심훈 발자취 ∙노량진역(노들역)→사육신공원→노들나루공원→용양봉저정→용봉정그린공원 →학도의용군현충비→심훈공원, 효사정→심훈 생가터 ∙그 밖의 이야기 -노들섬, 노들강변 -정조 화성행차도와 정약용, 김홍도 ∙사육신 공원 사육신(死六臣)은 조선 세조 2년(1456)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처형되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6명을 가리킨다. ‘병자사화’라고도 불리는 당시의 사건에서 이들 외에 70여 명이 모반 혐의..
4-11 담음의 근본을 치료하라 『난경』에서는 “신장이 오액을 주관하여 오습汚習으로 변화시킨다”고 하였다. 습은 담을 생기게 하는데, 담이란 기침하는 데 따라 움직여 나타난 비의 습이다. 담은 비위에서 생기므로 비를 튼튼하게 하고 습기를 말려야 한다. 담은 기를 따라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우선이고, 담을 풀어주고 이끌어주는 것이 다음이다. 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은 화에 속하는 것이니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은 화를 내리는 데 있다. 『의감』 비토를 튼튼하게 하여 비의 습기를 말리는 것은 담음의 근본을 치료하는 것이다. 허한 사람이 중초에 담이 있을 경우, 위기가 그로부터 영양받으니 갑자기 담을 몰아내는 약을 써서는 안된다. 담을 다 몰아내면 더욱 허해지기 때문이다. 담을 치료할 때에 ..
[즐거운시낭송] 나는 여름이 좋다/시 이재무, 시낭송/이서윤 나는 여름이 좋다 이재무 1 나는 여름이 좋다 옷 벗어 마음껏 살 드러내는, 거리에 소음이 번지는 것이 좋고 제멋대로 자라대는 사물들, 깊어진 강물이 우렁우렁 소리 내어 흐르는 것과 한밤중 계곡의 무명에 신이 엎지른 별빛들 쏟아져 내려 화폭처럼 수놓은 문장 보기 좋아라 천둥 번개 치는 날 하늘과 땅이 만나 한통속이 되고 몸도 마음도 솔직해져 얼마간의 관음이 허용되는 여름엔 절제를 모르는 아이와 같이 나를 마구 들키고 싶고 내 안쪽 고이 숨겨 온 비밀 몰래 누설하고 싶어라 나는 여름이 좋다 2 나는 시끄러운 여름이 좋다 여름은 소음의 어머니 우후죽순 태어나는 소음의 천국 소음은 사물들의 모국어 백가쟁명 하는 소음의 각축장 하늘의 플러그가 땅에 꽂..
[한국현대대표시] 늙은 어머니의 발톱을 깎아 드리며/시 이승하, 시낭송/이서윤 늙은 어머니의 발톱을 깎아 드리며 이승하 작은 발을 쥐고 발톱 깎아드린다 일흔다섯 해 전에 불었던 된바람은 내 어머니의 첫 울음소리 기억하리라 이웃집에서도 들었다는 뜨거운 울음소리 이 발로 아장아장 걸음마를 한 적이 있었단 말인가 이 발로 폴짝폴짝 고무줄놀이를 한 적이 있었단 말인가 뼈마디를 덮은 살가죽 쪼글쪼글하기가 가뭄못자리 같다 굳은살이 덮인 발바닥 딱딱하기가 거북이 등 같다 발톱 깎을 힘이 없는 늙은 어머니의 발톱을 깎아드린다 가만히 계셔요 어머니 잘못하면 다쳐요 어느 날부터 말을 잃어버린 어머니 고개를 끄덕이다 내 머리카락을 만진다 나 역시 말을 잃고 가만히 있으니 한쪽 팔로 내 머리를 감싸 안는다 맞닿은 창문이 온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