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국명시
- 현대시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한국명시낭송
- 시낭송행복플러스
- 애송시
- 이서윤시낭송
- 축시낭송
- 이서윤 시인
- 한국명시낭송클럽
- 이서윤 시낭송
- 신춘문예
- 윤동주
- 허준박물관
- 풍경이 있는시
- 시낭송아카데미
- 장수길
- 동의보감
- 명시낭송
- 시낭송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이서윤
- 허준
- 시인
- 세계명시
- 명시
- 풍경이 있는 시
- 문학
- 좋은시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Today
- Total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별 - 정지용 본문
별
정지용
누워서 보는 별 하나는
진정 멀-고나.
아스름 다치랴는 눈초리와
금실로 이은 듯 가깝기도 하고,
잠 살포시 깨인 한밤엔
창유리에 붙어서 엿보노라.
불현듯, 솟아날 듯
불리울 듯, 맞어드릴 듯
문득 영혼안의 외로운 불이
바람처럼 일는 회한에 피여오른다.
흰 자리옷 채로 일어나
가슴 위에 손을 녀미다.
-(『리얼리즘의 시정신 최두석 평론집』 2010 실천문학사)
정지용 시인/ 1902. 5. 15 충북 옥천~ ? 아명은 지용(池龍).
한의사인 아버지 태국(泰國)과 어머니 정미하(鄭美河)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12세 때 송재숙(宋在淑)과 결혼했으며, 1914년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톨릭에 입문했다. 옥천공립보통학교를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홍사용·정백 등과 사귀었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으며,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이일·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
1923년 4월 도쿄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독립운동가 김도태, 평론가 이헌구, 시조시인 이병기 등과 사귀었다.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
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조지훈·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이화여자대학으로 옮겨 교수 및 문과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인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입했던 이유로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강연에 종사했다. 1950년 6·25전쟁 이후의 행적에는 여러 설이 있으나 월북했다가 1953년경 북한에서 사망한 것이 통설로 알려져 있다.
'아름다운 시편들 > 명시.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 수제비 잘 뜨는 법 - 손택수 (0) | 2014.09.29 |
---|---|
우리집에 와서 다 죽었다 - 유홍준 (0) | 2014.09.21 |
갈대들 - 이재무 (0) | 2014.09.16 |
달의 탱고 - 하재봉 (0) | 2014.09.11 |
맛있는 드라마 - 박주택 (0) | 201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