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세계명시
- 풍경이 있는 시
- 이서윤 시낭송
- 한국명시낭송
- 이서윤시낭송
- 현대시
- 신춘문예
- 윤동주
- 문학
- 시낭송행복플러스
- 풍경이 있는시
- 시낭송
- 장수길
- 시인
- 축시낭송
- 동의보감
- 애송시
- 시낭송아카데미
- 명시낭송
- 이서윤
- 좋은시
- 허준박물관
- 한국명시
- 이서윤 시인
- 명시
- 허준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한국명시낭송클럽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옥수수가 익어갑니다 변희수 내가 여름을 다 말해버리면 옥수수는 익지 않는다 촘촘한 치아가 아름답다고들 하지만 매미 울음이 어금니에 박혀 빠지지 않는다 뭉개어지고 으깨어지는 말들 입속이 붐비면 처진 어깨를 조금 흔들어 보이거나 으쓱거려본다 치아와 치아 사이에 거웃처럼 비밀이 자란다 혀를 길게 빼문 한낮의 발설에 귀를 기울이던 바람이 천천히 수염을 쓸어내린다 태양의 내란과 음모를 기억하던 여름이 벌어진 입을 조금씩 다문다 단전을 끌어올려 이빨 사이로 스,스,스 날숨을 뱉어본다 독 오른 뱀이 산으로 올라가고 당신이 잘 볶은 옥수수차를 말없이 내놓던 일 근자에, 더 좋은 일은 없었습니다 옥수수는 이미 무량무량 익었습니다 ⸻계간 《문파》 2020년 겨울호 ----------------- 변희수 / 1963년 경남..
푸른 해 김영산 푸른 해 푸른 해 라고 부르면 푸른 해가 된다 너도 푸른 해 나도 푸른 해 우리 모두 푸른 해 푸른 해 푸른 해 하고 부르지 않아도 푸른 해가 된다 푸른 해라고 부르지 않아도 푸른 해 분명한 사건 하나는 우리가 푸른 해 사건 하나는 사건 둘 사건 셋 푸른 해 하나가 생기면 푸른 해 여럿이 그 주위를 돌고 돈다 우리는 푸른 해 주위를 돌고 돈다 하나의 사건이 생겨나는 것처럼 푸른 해가 생겨나는 것처럼 푸른 해가 생겨나고 그 푸른 해 주위를 푸른 해들이 돌고 돈다 ⸻월간 《현대시》 2021년 2월호 ------------------ 김영산 / 1963년 전남 나주 출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학예술학과 박사 수료. 1990년 《창작과 비평》으로 등단. 시집 『冬至』 『평일』 『벽화』 『게임..
♧한강걷기 첼린저 한강따라 시따라 걷기 12코스중 8코스(정조 행차의 길목-노량진과 남태령) -일시: 2021. 2. 25 목요일 10시 -코스: 숭실대입구역 3번출구-서달산-달마사전망대-마포종점역-마포역 8.6km -암송시: 사람들은 왜 모를까/김용택 *숭실대입구역/동작구 상도1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지하철역이며 인근에 숭실대학교가 있다. *서달산/해발 179m 동작구 흑석동 남서쪽에 있는 산이다. 재강굴산이라고도 하는데, 화장산의 북쪽으로 뻗은 줄기는 중앙대학교의 뒷산을 이루며 ‘서달산’·’재강굴산’으로 불린다. 서달산은 달마사의 서쪽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재강굴산은 붉은 산이라는 뜻으로 돌이 많이 나며 중앙대학교를 창립한 임영신의 묘가 있다. 또한 국립현충원이 자리 잡고 있..
최소한의 겨울로만 이혜미 열매를 믿고 싶어지는 순간도 있었지 나무의 슬픔을 저장하려 술을 담그고 낙과들이 머문 자리마다 멍울지던 얼룩을 바라본다 유리병에 담긴 겨울 포도들이 귓속의 동굴 속으로 잠겨 들면 꿈이 잠을 벗어나듯 과실은 계절로부터 풀려나오지 지하 창고에는 작은 은스푼으로 조금씩 모아두었던 겨울잠의 냄새가 고여 있고 잠의 녹는점을 알기 위해 한 시 전에는 불을 끄고 손을 모으고 최소한의 생각만을 해 멀리로 오래전의 깊이 속으로 나무가 뿌리를 하염없이 휘저으며 꿈속에 두고 온 깃털을 찾듯이 이제는 너의 두 귀가 밀봉된 날개라고 믿어 귀퉁이가 깨진 세계를 털며 나무에게서 떠나가는 새처럼 열매가 자신의 그림자를 만나러 갈 때 늦은 배웅에는 긴 연습이 필요했다고 ⸺반년간 《상상인》 2021년 1월, 창..
바람이 묻는다 (외 2편) 권순학 바람에게도 무늬가 있다 향이 있다 이름만으로 느껴지는 그 멋과 맛 수없이 의심하고 더 많이 돌아서는 습관 아닌 늘 낮은 곳으로 향하는 그녀의 천성 닮았다 얼음 풀린 금강가 멈칫대는, 한 줄기 바람 있다 아주 오래전 고향 떠나왔을 그것 희미하지만 익숙한 맛과 멋 돌아올 기약 없이 떠나는 누군가 묵은 자개장롱 깊숙한 곳에서 꺼낸 친정 같기도 눈물로만 열릴 유언 같기도 하다 그럼에도, 안녕을 물어오는 그 바람 수소(水素) 그녀 이름은 H 주민등록번호는 가장 빠른 1 뭐든 맨 앞은 비중 있기 마련인데 성질부터 주변과는 딴판인 그녀 누구는 경망스럽다 하지만 스스로 탈 줄 알고 폭발할 줄 안다 몸도 마음도 이름 따른 그녀 우리들 넷 중 셋이 그녀라니 몸과 마음 거의 그녀 것일 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