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허준
- 장수길
- 애송시
- 세계명시
- 한국명시낭송
- 시낭송
- 이서윤 시낭송
- 명시낭송
- 명시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허준박물관
- 시낭송아카데미
- 이서윤
- 현대시
- 한국명시
- 동의보감
- 한국명시낭송클럽
- 풍경이 있는시
- 윤동주
- 풍경이 있는 시
- 시낭송행복플러스
- 문학
- 이서윤 시인
- 좋은시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축시낭송
- 시인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신춘문예
- 이서윤시낭송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사람들은 왜 모를까 김용택 이별은 손끝에 있고 서러움은 먼데서 온다 강 언덕 풀잎들이 돋아나며 아침 햇살에 핏줄이 일어선다 마른 풀잎들은 더 깊이 숨을 쉬고 아침 산그늘 속에 산벚꽃은 피어서 희다 누가 알랴 사람마다 누구도 닿지 않는 고독이 있다는 것을 돌아앉은 산들은 외롭고 마주 보는 산은 흰 이마가 서럽다 아픈데서 피지 않는 꽃이 어디있으랴 슬픔은 손끝에 닿지만 고통은 천천히 꽃처럼 피어난다 저문 산 아래 쓸쓸히 서 있는 사람아 뒤로 오는 여인이 더 다정하듯이 그리운 것들은 다 산 뒤에 있다 사람들은 왜 모를까 손에 닿지 않는 것들이 꽃이 된다는 것을 김용택/1948년 8월 26일 . 전북임실. 시 〈섬진강〉연작으로 유명하여 일명 '섬진강 시인'으로 불린다. 1969년 순창농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듬..
거대한 밭 (외 2편) 손 음 깡마른 손 하나가 채소밭 하나를 밀고 간다 불구덩이 땡볕을 이고 오직 밭고랑을 밀고 간다 내리 딸자식만 일곱을 둔 거북 등짝 같은 할머니가 한여름 찢어대는 매미 소리를 이고 시퍼렇게 돋아나는 잡초를 밀고 간다 잡초들은 믿기지 않는 광기를 뿜어내며 할머니를 에워싼다 할머니는 호미 한 자루로 밭을 지키려 한다 상추와 호박과 고구마 속에서 열무와 고추와 가지 속에서 할머니는 진저리를 치며 호미질을 한다 진저리치는 만큼 잡초들은 자란다 전속력으로 자란다 상추와 호박과 고구마와 잡초와 열무와 고추와 잡초와 할머니가 서로가 서로를 저항하면서 자란다 이런 오살할! 욕이란 욕 다 얻어먹어 가며 비로소 여름은 완성되고 있다 고백 비가 내리고 수제비 뽀얀 국물이 빗소리로 들끓는다 선반에는 먼..
♧한강따라 시따라 걷기 12코스의 7코스(한남대로의 시작, 동작진과 노량진) -일시: 2021. 2. 18 목요일 10시 -코스: 한남역-잠수교-세빛섬-서래섬-동작진(동작역) 5.2km -암송시: 내가 만난 사람은 모두 아름다웠다/이기철 *한남역(漢南驛)/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한남대교 북단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철도역이다. 1980년 4월 1일 영업개시 *잠수교/용산구 서빙고동 4번지와 서초구 반포동 137번지 사이 한강에 있는 다리이며 795m이다. 한강의 홍수 때면 물에 잠겨 잠수교라고 하며 국가 비상시 안보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안보교라고도 한다. 이 다리 위층은 반포대교로서 이중교량이다. 폭 18m로 1975년 9월 5일에 착공하여 1976년 7월 15일에 한국건업이 준공하였다...
☞한강따라 시따라 걷기 12코스중 6코스/강물은 흘러간다, 제3 한강교 밑을 -일시: 2021. 2. 4 목요일 10시/ -장소: 서울숲역 3번 출구 10시 -코스 서울숲역(3번)-서울숲-응봉공원-한남대교-한남역 7.8km -암송시: 늘 혹은 때때로/ 조병화 *서울숲/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1가 685번지 일대에 있는 공원이다. 본래 골프장과 경마장이 있던 곳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업비 약 2352억원을 들여 2005년 6월에 완성하였다. 면적은 1,156,498m2 (약 35만평)이며, 테마공원 5개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과 중랑천이 공원 근처를 흐른다. 마포구 월드컵공원 (100만평)과 송파구 올림픽공원 (50만평)에 이어 서울에서 세 번째로 큰 공원이다 *응봉산(그린공원)/ ..
☞한강따라 시따라 걷기 12코스중 5코스/강남의 발전, 영동대교 건설 -일시: 2021. 01. 128 목요일 10시/ -장소: 잠실역 3번 출구 10시 -코스: 잠실역–석촌호수–탄천합수부–영동대교-성수대교-서울숲 역 9.4km *잠실역/잠실(송파구청)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의 환승역이다. 송파구청은 서울특별시 고시로 정한 병기역명이다 *삼전도비/1639년(인조 17)에 한강의 상류인 삼전도(지금의 서울특별시 송파구 삼전동)에 세운 청태종의 공덕비. 사적 제101호. 높이 395㎝, 너비 140㎝. 이수와 귀부를 갖춘 커다란 비이다. 비문에 새겨져 있는 원래 명칭은 '대청황제공덕비'이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여 고립되었던 인조가 삼전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