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학
- 한국명시
- 시낭송아카데미
- 이서윤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풍경이 있는시
- 좋은시
- 이서윤 시낭송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축시낭송
- 현대시
- 시낭송
- 신춘문예
- 명시
- 이서윤시낭송
- 풍경이 있는 시
- 시낭송행복플러스
- 시인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이서윤 시인
- 명시낭송
- 허준
- 윤동주
- 허준박물관
- 한국명시낭송
- 장수길
- 애송시
- 세계명시
- 한국명시낭송클럽
- 동의보감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한국현대대표시] 이서윤 시낭송 꽃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1922-2004) 경남 통영 출생. 1946년 광복 1주년 기념 시화집 “날개”에 ‘애가’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사물의 이면에 내재하는 본질을 파악하는 시를 써서 ‘인식의 시인’으로 불린다. 시집으로 “구름과 장미”(1948), “꽃의 소묘”(1959), “처용”(1974), “쉰..
[ 한국현대대표시낭송 ②] 명시낭송특선12편-② 이서윤시낭송 내 마음의 애송시 한편 한편을 모아 시인의 약력과 함께 낭송집으로 엮었습니다 감상, 감사드립니다~^^ 1. 광야/ 이육사 2.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3. 경건한 정열/ 김달진 4. 그 먼나라를 알으십니까/ 신석정 5. 행복/ 유치환 6. 길/ 김기림 7. 바라춤/ 신석초 8. 거울/ 이상 9. 나와나타샤와 흰당나귀/ 백석 10. 개화/ 이호우 11. 가을의 기도/ 김현승 12. 추일서정/ 김광균
[시가 있는 월요일] 꽃 없는 생의 거룩함 매일경제 원문 허연 입력2022.03.21 00:04 술안주로 무화과를 먹다가 까닭 없이 울컥, 눈에 물이 고였다 꽃 없이 열매 맺는 무화과 이 세상에는 꽃 시절도 없이 어른을 살아온 이들이 많다 - 이재무 作 '무화과' '봄날은 갔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다. '봄날이 있었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봄날을 즐겨본 사람만이 봄날은 갔다고 말할 수 있다. '무화과'라는 시를 읽으며 든 생각이다. 시인은 무화과를 안주 삼아 술을 먹다 말고 눈물이 핑 도는 경험을 한다. 꽃도 없이 열매 맺는 무화과처럼 '꽃 시절'도 없이 어른이 되어버린 많은 사람들의 인생이 생각나서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인생은 즐거움보다는 수행이나 고행에 가깝다. 그렇다. 사실 우..
4-4 기가 모여서 진액이 생긴다. 성인이 이렇게 말하였다. “양(陽) 가운데서 음(陰)이 생기고, 음 가운데서 양이 생긴다. 기(氣) 가운데서 액이 생기고, 액 가운데서 기가 생긴다. 또한 액이 모여 기가 생기고, 기가 모여 액이 생긴다.”-『직격서』(直格書) 정자(程子)가 말했다. “감괘(坎掛)는 수(水)인데, 일양(一陽)이 괘의 가운데에서 비롯된다. 형체가 있는 것 중 가장 먼저 나온 것이다” 라고 하였다. 노재 포씨(魯齋 鮑氏 : 포원룡. 자는 노재.. 송말 원초의 학자)가 말했다. “물체가 처음 생겨날 때 그 형체는 모두 물에서 시작되니, 물은 만물의 근원이다.” 어떤 사람이 물었다. “하늘이 처음으로 물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까?” 이렇게 대답하였다. “그것은 사람의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