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좋은시
- 시낭송행복플러스
- 한국명시낭송클럽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세계명시
- 이서윤
- 명시
- 동의보감
- 애송시
- 이서윤시낭송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축시낭송
- 윤동주
- 한국명시
- 신춘문예
- 현대시
- 명시낭송
- 풍경이 있는 시
- 이서윤 시낭송
- 풍경이 있는시
- 장수길
- 시인
- 문학
- 시낭송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허준
- 한국명시낭송
- 시낭송아카데미
- 허준박물관
- 이서윤 시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한국현대대표시] 진달래꽃/시 김소월, 시낭송/이서윤 진달래꽃 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시인(1902 ~ 1934) 평북 구성 출생. 본명은 정식. 1920년 “창조”에 ‘낭인의 봄’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 이별과 그리움에서 비롯하는 슬픔, 눈물, 정한 등을 주제로 하여 일상적이면서 독특하고 울림이 있는 시를 창작했다. 시집으로 “진달래꽃”(1925)이 있다.
이서윤과 함께 하는 시낭송행복플러스 시와 해설이 있는 도심속 문학기행 2회차 서촌(10:00-12:00) 세종마을 ∙일시: 2022 04 13 (수) 10시 경복궁역 4번 출구 ∙코스: 보안여관 시인부락 창간터 →세종대왕 태실 표지석→이상시인 집터, 노천명집터→근대 6대 화가 이상범 가옥, 천경자화가 집터 →박노수 화가 미술관→윤동주 하숙집터, 이중섭화가 집터→수성동계곡(겸제정선의 옥류동천) ∙보안여관→세종대왕 태실 기념비(예상시간 10:20-10:40) -이동시간 5분 250m(10:20-10:25) -관람시간 5분(10:25-10:30) ∙세종대왕 태실 기념비→이상집터(10:30-11:30) -이동시간 34분 250m(10:30-10:35) -관람시간 10분(10:35-10:45) ∙.이상시인 집터→..
4-7 함부로 침뱉지 말라 진인은 “늘 침을 땅에 뱉지 않도록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하였다. 입안의 진액은 금장옥례(金漿玉醴:금장, 옥례라는 선약의 이름이며 도가에서는 침을 뜻하는 말)과 같은 것이다. 하루 종일 침을 뱉지 않고 항상 입에 물고 있다 다시 삼킨다면 정기가 늘 보존되고 얼굴과 눈에 광채가 돈다. 대개 사람의 몸은 진액을 기본으로 삼는다. 피부에서는 땀이 되고, 근육에서는 피가 되고, 신장에서는 정액이 되고, 입에서는 침이 되고, 비장에 잠복하면 담(痰: 진액이 한 곳에 정체되어 뭉친 증상)이 되고, 눈에서는 눈물이 된다. 땀, 피, 눈물, 정액은 한번 나가면 돌이킬 수 없지만 침은 다시 돌릴 수 있다. 돌린다는 것은 생생(生生)의 뜻이 지속된다는 의미이다. 어떤 사람이 침을 자주 뱉은 탓..
[한국현대대표시] 그대 앞에 봄이 있다/시 김종해, 시낭송/이서윤 그대 앞에 봄이 있다 김종해 우리 살아가는 일 속에 파도 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이 어찌 한 두 번이랴 그런 날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 두어야 한다 우리 사랑하는 일 또한 그 같아서 파도 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게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 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김종해/(1941~ )부산출생. 1963년 '자유문학'지에 시로 당선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으로 문단에 데뷔. 현대시 동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창립발기위원, 민주평통 문화예술분과 상임간사,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역임. 현대문학상, 한국문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