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서윤
- 이서윤시낭송
- 동의보감
- 풍경이 있는 시
- 허준
- 시낭송아카데미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장수길
- 시낭송
- 명시
- 시낭송행복플러스
- 문학
- 이서윤 시인
- 풍경이 있는시
- 한국명시낭송
- 허준박물관
- 윤동주
- 이서윤 시낭송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한국명시
- 애송시
- 현대시
- 축시낭송
- 시인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명시낭송
- 좋은시
- 신춘문예
- 한국명시낭송클럽
- 세계명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내 안의 자연을 일깨우는 소리', 『낭송 동의보감 내경편』 허준지음. 임경아.이민정 풀어읽음. 고미숙기획 “지인至人:도를 깨달은 사람은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리고 의사는 병이 난 뒤에 다스린다.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리는 방법에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과 수양하는 것이 있다.” '동의보감은 의서임에도 '병'보다는 '생명활동'에 중점을 두고 병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양생법을 강조하고 있다. 양생법은 말 그대로 ‘잘사는 방법’인데 태어날 때 천지로부터 받은 기운을 잘 아끼고 보양하라는 것이다. 이 방법은 계절의 변화에 맞게 잠자고 일어나며, 음식은 담백하고 적당히 먹는다. 몸을 너무 많이도 쓰지도 않고 , 너무 게으르게 늘어지지도 않게 한다. 마음은 도를 닦는 것처럼 고요하게 한다. - 『낭송 동의보감 내경편..
옥수수가 익어갑니다 변희수 내가 여름을 다 말해버리면 옥수수는 익지 않는다 촘촘한 치아가 아름답다고들 하지만 매미 울음이 어금니에 박혀 빠지지 않는다 뭉개어지고 으깨어지는 말들 입속이 붐비면 처진 어깨를 조금 흔들어 보이거나 으쓱거려본다 치아와 치아 사이에 거웃처럼 비밀이 자란다 혀를 길게 빼문 한낮의 발설에 귀를 기울이던 바람이 천천히 수염을 쓸어내린다 태양의 내란과 음모를 기억하던 여름이 벌어진 입을 조금씩 다문다 단전을 끌어올려 이빨 사이로 스,스,스 날숨을 뱉어본다 독 오른 뱀이 산으로 올라가고 당신이 잘 볶은 옥수수차를 말없이 내놓던 일 근자에, 더 좋은 일은 없었습니다 옥수수는 이미 무량무량 익었습니다 ⸻계간 《문파》 2020년 겨울호 ----------------- 변희수 / 1963년 경남..
푸른 해 김영산 푸른 해 푸른 해 라고 부르면 푸른 해가 된다 너도 푸른 해 나도 푸른 해 우리 모두 푸른 해 푸른 해 푸른 해 하고 부르지 않아도 푸른 해가 된다 푸른 해라고 부르지 않아도 푸른 해 분명한 사건 하나는 우리가 푸른 해 사건 하나는 사건 둘 사건 셋 푸른 해 하나가 생기면 푸른 해 여럿이 그 주위를 돌고 돈다 우리는 푸른 해 주위를 돌고 돈다 하나의 사건이 생겨나는 것처럼 푸른 해가 생겨나는 것처럼 푸른 해가 생겨나고 그 푸른 해 주위를 푸른 해들이 돌고 돈다 ⸻월간 《현대시》 2021년 2월호 ------------------ 김영산 / 1963년 전남 나주 출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학예술학과 박사 수료. 1990년 《창작과 비평》으로 등단. 시집 『冬至』 『평일』 『벽화』 『게임..
♧한강걷기 첼린저 한강따라 시따라 걷기 12코스중 8코스(정조 행차의 길목-노량진과 남태령) -일시: 2021. 2. 25 목요일 10시 -코스: 숭실대입구역 3번출구-서달산-달마사전망대-마포종점역-마포역 8.6km -암송시: 사람들은 왜 모를까/김용택 *숭실대입구역/동작구 상도1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지하철역이며 인근에 숭실대학교가 있다. *서달산/해발 179m 동작구 흑석동 남서쪽에 있는 산이다. 재강굴산이라고도 하는데, 화장산의 북쪽으로 뻗은 줄기는 중앙대학교의 뒷산을 이루며 ‘서달산’·’재강굴산’으로 불린다. 서달산은 달마사의 서쪽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재강굴산은 붉은 산이라는 뜻으로 돌이 많이 나며 중앙대학교를 창립한 임영신의 묘가 있다. 또한 국립현충원이 자리 잡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