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서윤시낭송
- 한국명시낭송클럽
- 신춘문예
- 장수길
- 허준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시인
- 동의보감
- 풍경이 있는시
- 이서윤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윤동주
- 좋은시
- 문학
- 시낭송행복플러스
- 시낭송아카데미
- 명시
- 이서윤 시인
- 시낭송
- 현대시
- 애송시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명시낭송
- 한국명시
- 세계명시
- 축시낭송
- 풍경이 있는 시
- 한국명시낭송
- 허준박물관
- 이서윤 시낭송
- Today
- Total
목록세계명시 (187)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12월의 집 길상호 지하층엔 구십 세 노인이 산다고 했다 남은 체온으로 심장을 돌리는데 계량기 눈금이 너무 천천히 움직였다 일층에는 유령이 가꾸는 고무나무 화분 이층에는 계약도 없이 몇 달째 거주하는 바람 깡마른 시인이 짐도 없이 이사를 와 옥탑방을 채웠다 말수 적고 귀가 어두운 세입자들뿐이라서 층간소음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집도 반 이상은 죽은 몸 얼음이 낀 핏줄은 때때로 막히고 흐릿한 창 몇 개만 겨우 눈을 빛냈다 동파된 방을 두고 떠날 때까지 한 달 시인은 한 편의 시도 쓰질 못했고 구십 세 노인은 나이가 한 살 늘었다 일층의 유령과 이층의 바람에게는 딱히 떠난다는 인사도 남기지 않았다 ⸺계간 《시인시대》 2021년 가을호 ------------------ 길상호 / 1973년 충남 논산 출생. 2..
아름다운 영혼을 위한 소나타* 이병일 땅을 파야합니다 봄엔 더 죽을 것도 없으니까 씨앗을 뿌려야 하겠지요 더 이룰 것도 없는 몸이니까 땅을 밟아야 하겠지요 세상이 어떠한지 묻지 않았지요 그냥 조용히 밤의 거인이 크게 자라지 않도록 한가지 노래를 고상하게 불렀겠지만 달라질 것이 있다면 거미에게 갉아 먹혀도 새는 새 몸으로 날아온다는 것이죠 손가락으로 눌러 죽일 벌레가 많으면 마음이 울렁거리지 않죠 땅에 몸을 맡기지 않으면 봄이 온다고 믿지 않게 돼요 사랑을 위해 쇄골 숨을 크게 돌렸다지요 피를 아홉 번이나 흘렸다는 것에 기꺼워하면서 죽음 따위 두려워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바위 언덕에 수수 씨를 뿌리며 맨발로 땅을 밟았거든요 땅을 예쁘게 밟으면 뺨과 이마 위에서 기쁨이 솟는대요 아, 세상 모든 것과 통하는 이..
최소한의 겨울로만 이혜미 열매를 믿고 싶어지는 순간도 있었지 나무의 슬픔을 저장하려 술을 담그고 낙과들이 머문 자리마다 멍울지던 얼룩을 바라본다 유리병에 담긴 겨울 포도들이 귓속의 동굴 속으로 잠겨 들면 꿈이 잠을 벗어나듯 과실은 계절로부터 풀려나오지 지하 창고에는 작은 은스푼으로 조금씩 모아두었던 겨울잠의 냄새가 고여 있고 잠의 녹는점을 알기 위해 한 시 전에는 불을 끄고 손을 모으고 최소한의 생각만을 해 멀리로 오래전의 깊이 속으로 나무가 뿌리를 하염없이 휘저으며 꿈속에 두고 온 깃털을 찾듯이 이제는 너의 두 귀가 밀봉된 날개라고 믿어 귀퉁이가 깨진 세계를 털며 나무에게서 떠나가는 새처럼 열매가 자신의 그림자를 만나러 갈 때 늦은 배웅에는 긴 연습이 필요했다고 ⸺반년간 《상상인》 2021년 1월, 창..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여름의 돌 이근석 나는 토끼처럼 웅크리고 앉아 형의 작은 입을 바라보았다. 그 입에선 미래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형한테선 지난여름 바닷가 냄새가 나, 이름을 모르는 물고기들 몇 마리 그 입속에 살고 있을 것만 같다. 무너지는 파도를 보러 가자, 타러 가자, 말하는 형은 여기 있는 사람이 아닌 것 같다. 미래를 이야기했다. 미래가 아직 닿아있지 않다는 사실이 형을 들뜨게 했다. 미래는 돌 속에 있어, 우리가 아직 살아보지 못한 이야기가 번져있어, 우리가 미래로 가져가자, 그때 우리는 서로를 바라본다. 그동안 우리는 몇 번 죽은 것 같아. 여름, 여름 계속 쌓아 올린 돌 속으로 우리가 자꾸만 죽었던 것 같아. 여기가 우리가 가장 멀리까지 온 미래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