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동의보감
- 명시낭송
- 한국명시
- 시낭송
- 시인
- 현대시
- 한국명시낭송클럽
- 풍경이 있는 시
- 장수길
- 좋은시
- 이서윤
- 한국명시낭송
- 신춘문예
- 허준박물관
- 풍경이 있는시
- 이서윤 시인
- 세계명시
- 축시낭송
- 윤동주
- 한국명시낭송예술인연합회
- 시낭송행복플러스
- 명시
- 이서윤 시낭송
- 애송시
- 이서윤시낭송
- 강서구민회관 시낭송반
- 강서구민회관시낭송
- 시낭송아카데미
- 허준
- 문학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71)
시낭송행복플러스(시와 함께 가는 행복한 삶)
크고 둥근 식탁 문성해 난 크고 둥근 식탁을 주문하고 싶어 아무래도 열대우림의 원목들이 좋겠지 꼭 바다를 건너 온 놈이었음 해 태풍의 심장도 더듬어 보고 흰수염 고래의 물기둥에도 이력이 나 있는 이왕이면 아침에 켠 원목이면 더욱 좋겠지 비바람에도 끄떡없는 가지로 네 개의 다리를 만들고 푸른 이파리의 화관을 둘러본 둥치로 상판을 만들 테야 당신은 그 위로 새둥지 같은 장바구니를 매번 얹을 테지 계란과 풋것들이 홈타운인 양 술렁거리는 좁은 집안 가득 찬 그것과 동거한다면 모든 밤이 후끈한 열대야 같을 거야 자고 나면 끼니가 오는 것과 새벽의 식탁에 어린 부엉이처럼 앉은 당신이 희고 둥근 하품을 뭉게뭉게 빚어내는 것도 신기할 거야 난 비바람과 칡넝쿨이 번갈아 업어 키운 크고 둥근 물푸레나무 식탁을 가지고 싶어..
12월의 집 길상호 지하층엔 구십 세 노인이 산다고 했다 남은 체온으로 심장을 돌리는데 계량기 눈금이 너무 천천히 움직였다 일층에는 유령이 가꾸는 고무나무 화분 이층에는 계약도 없이 몇 달째 거주하는 바람 깡마른 시인이 짐도 없이 이사를 와 옥탑방을 채웠다 말수 적고 귀가 어두운 세입자들뿐이라서 층간소음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집도 반 이상은 죽은 몸 얼음이 낀 핏줄은 때때로 막히고 흐릿한 창 몇 개만 겨우 눈을 빛냈다 동파된 방을 두고 떠날 때까지 한 달 시인은 한 편의 시도 쓰질 못했고 구십 세 노인은 나이가 한 살 늘었다 일층의 유령과 이층의 바람에게는 딱히 떠난다는 인사도 남기지 않았다 ⸺계간 《시인시대》 2021년 가을호 ------------------ 길상호 / 1973년 충남 논산 출생. 2..
아름다운 영혼을 위한 소나타* 이병일 땅을 파야합니다 봄엔 더 죽을 것도 없으니까 씨앗을 뿌려야 하겠지요 더 이룰 것도 없는 몸이니까 땅을 밟아야 하겠지요 세상이 어떠한지 묻지 않았지요 그냥 조용히 밤의 거인이 크게 자라지 않도록 한가지 노래를 고상하게 불렀겠지만 달라질 것이 있다면 거미에게 갉아 먹혀도 새는 새 몸으로 날아온다는 것이죠 손가락으로 눌러 죽일 벌레가 많으면 마음이 울렁거리지 않죠 땅에 몸을 맡기지 않으면 봄이 온다고 믿지 않게 돼요 사랑을 위해 쇄골 숨을 크게 돌렸다지요 피를 아홉 번이나 흘렸다는 것에 기꺼워하면서 죽음 따위 두려워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바위 언덕에 수수 씨를 뿌리며 맨발로 땅을 밟았거든요 땅을 예쁘게 밟으면 뺨과 이마 위에서 기쁨이 솟는대요 아, 세상 모든 것과 통하는 이..
나무를 맛있게 먹는 풀코스법 (외 4편) 이윤설 비린 게 무지하게 먹고팠을 뿐이어요 슬펐거든요 울면서 마른나무 잎을 따 먹었죠 전어튀김처럼 파삭 부서졌죠 사실 나무를 통째로 먹기는 제 입 턱없이 조그마했지만요 앉은 자리에서 나무 한 그루 깨끗이 아작냈죠 멀리 뻗은 연한 가지는 똑똑 어금니로 끊어 먹고 잎사귀에 몸 말고 잡든 매미 껍질도 이빨 새에 으깨어졌죠 뿌리째 씹는 순서 앞에서 새알이 터졌나? 머리 위에서 새들이 빙빙 돌면서 짹짹거렸어요 한입에 넣기에 좀 곤란했지만요 닭다리를 생각하면 돼요 양손에 쥐고 좌-악 찢는 거죠 뿌리라는 것들은 닭발 같아서 뼈째 씹어야 해요 오도독 오도독 물렁뼈처럼 씹을수록 맛이 나죠 전 단지 살아 있는 세계로 들어가고팠을 뿐이었어요 나무 한그루 다 먹을 줄, 미처 몰랐다구요..